728x90
반응형
GitHub upload by Sourcetree
[ GitHub - Sourcetree connection ]
- github에서 repository를 먼저 만든다.
- (나중에 .gitignore 파일을 생성하기 어렵기 때문에 처음에 repository를 만들 때 아무거나 클릭하고 일단 생성한다.)
- 생성한 Github repository URL을 복사한다.
- Sourcetree를 열고 NEW에 Clone from URL 클릭한다. (Sourcetree 가입은 미리 해두기!)
- Source URL에 복사한 Github repository URL을 붙여넣는다.
- 자신의 finder에 빈 폴더를 만들고 destination path로 지정한다.
- Clone 누르면 끝!경로로 무시하고 싶은 파일을 지정하려면 그 파일이 있는 폴더까지 지정해주기
- ex) *.csv (Mac에서 ignore file 보는 방법은 shift + command + .)
- cf) 무시하고 싶은 형식의 파일 또는 특정 파일을 .gitignore 에 추가시킨다.
[ How to use ]
- Pull: GitHub homepage에 있는 자료를 본인 컴퓨터 finder에 업데이트 시킴. (다른사람이 업데이트 한 것 가져오기)
- Commit + Push: 본인 컴퓨터 finder에 있는 것을 GitHub 에 업데이트 시킴.
- 변경사항이 있으면 Commit 에 숫자가 뜨는데, 업로드 하고 싶은 파일을 선택 한 후 내가 무엇을 고쳤는지 commit log 작성
- ex) Change eat_food function 와 같이 1-2줄 작성, 대문자 동사로 쓰고 설명하는 방식 추천.
- 빠른 업로드: commit 버튼을 누르기 > log 작성 > 아래 보이는 "Push changes immediately to orgin/master"에 체크표시 하기 > commit 누르기업로드를 위해서는 반드시 commit과 push를 둘 다 눌러야 한다.
- Commit은 " 내가 이런 것을 수정 했다." 라는 기록만 해두는 것이다.
- 대문에 쓰고 싶은 문구는 README.md 문서에 써야 보임.
[ Caution ]
1) 충돌을 일으키지 않기 위해 pull 과 commit+push를 자주한다. (습관처럼 해주십쇼)
2) 동시에 여러명이 같은 파일을 수정하지 않는다. (충돌의 원인)
[ Reference ]
Branch - Merge 개념
Branch: a -> a1 -> a2 -> a3...,
a -> a'1-> a'2 -> a'3...
Merge: a3, a`3 -> a4
(개발자가 아니여서 아마 필요 없을듯. 개념만 간단히 알아두기. but 충돌 많이 일어나서 수동 관리 많이 해줘야함.)
728x90
반응형
'Bioinformatics &c > Linux & Pyth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Linux] guide_ssh (0) | 2022.12.28 |
---|---|
[Linux] install_ggrep (0) | 2022.12.28 |
[Python] Q3. Largest prime factor (0) | 2022.12.28 |